흥미있는 기사들

영국의 학생들 문해력 높이는 법: 실용적인 팁

봄방학(Miss Kim) 2023. 6. 8. 04:41
728x90
이 아티클을 쓴 교감 선생님 소냐 누넬리

https://www.tes.com/magazine/teaching-learning/secondary/literacy-books-how-faster-read-lessons-can-boost-reading-school

How 'faster read' lessons can boost reading

When assistant headteacher Sonja Nunneley wanted to raise reading standards at her school, she turned to research for inspiration

www.tes.com

 
영어공부 '읽기'에 관한 흥미로운 기사를 얼마 전 읽게 돼서 이렇게 블로그에 소개하고자 한다. 
 
영어공부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국에서도 항상 큰 화두이다. 많은 학교들이 학생들의 문해력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 어떻게 하면 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 고민한다. 
 
영국의 하트포드셔(Hertfordshire)의 한 중학교에서 일하는 교감선생님인 소냐 넌넬리(Sonja Nunneley)도 마찬가지였다. 
 
이 교감 선생님은 자신의 학교에 입학한 학생 56% 정도가 실제 나이에 뒤쳐지는 읽기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모든 과목의 가장 바탕이 되는 기본으로, 학생들의 읽기 실력이 낮다는 것은 나중에 있을 전국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했다. 
 
이 교감선생님은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수 많은 전략을 세우고 학생들을 가르쳤지만, 도통 학생들의 능력이 향상된다고 느끼지 않았다. 오히려 학생들은 책 읽기에 더 거부감을 느낄 뿐이었다.
 

그러다가 서섹스 대학교(the University of Sussex)에 발표된 논문에서 한가지 해답을 찾은 느낌을 받았다.

서섹스 대학교는 영어 선생님들이 12 주동안 단순히 빠른 속도로 두권의 소설을 학생들 앞에서 읽어주는 실험을 하였다. 12주 후,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보통 8.5개월 향상되었고, 책 읽기를 힘들어하는 학생들은 16개월 이상이라는 큰 폭의 읽기 능력 향상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교감 선생님은 곧 바로 자신의 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에게 이 빠르게 읽기 시스템을 적용시키기 시작했다.

빠르게 읽기 수업 방법 (Improving literacy: ‘Faster read’ lessons)

2주 동안 5번의 수업동안 빠르게 책 읽기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
(We decided that five lessons a fortnight would be “faster read” lessons, with the following format:)

1. 책 읽기 전 지난 시간에 알게 된 새로운 단어 상기해 보기
  (Students complete a “do now” vocabulary recap from previous reading)

2. 책 읽기 전 지난 시간에 읽은 책 내용 이해하는지 간략 체크 
(Students complete a “review now” activity to check for understanding from previous reading)

3. 책은 빠른 속도로 읽어나가며 어려운 단어가 나올 때에만 간략하게 단어 의미 설명해 주기 위해 멈춤

4. 책 읽으며 중간중간 책 내용 이해하는지 간단 질문하기.

5. 앞으로 책 내용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 질문하기.
(The teacher reads the novel, only pausing to clarify vocabulary, to question understanding and to ask for predictions (this is important, as it gets students to draw on their wider knowledge)

6. 책 읽기 후 개인적으로 공책에 5분 동안 간단 요약 또는 창의적으로 읽은 책에 관해 글쓰기.
(The lesson ends with a five-minute silent writing task: for example, a summary or creative writing)

* 독서 수준이 높은 학생들에게는 교사가 읽어주는 책을 주어 눈으로 따라 읽게 해도 되지만, 읽기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그냥 듣기만 하는 게 오히려 집중하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남. 

영국에선 영어 수업시간에 이렇게 교사가 한 책을 아이들과 함께 쭉 읽어나가는 활동을 한다. 단순히 책을 읽어주는 것만으로도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은 물론, 학생들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가는 비율도 높아졌다고 하니 나도 우리 반 학생들과 한 번 해볼까 한다^^